김성범 (유도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범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그는 2004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06년 아시안 게임 무차별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200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우승했으며, 2010년 월드컵 마이애미에서 100kg 초과급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 - 이봉걸
이봉걸은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씨름계를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한 씨름 선수이자 현재 에너라이프 타이거즈 씨름단 감독이며, 은퇴 후 씨름 발전 기여, 사회 활동 참여, 배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 - 송대남
송대남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 9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유도 종목 최고령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은퇴 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이은희 (유도 선수)
이은희는 2000년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대한민국 유도 발전에 기여한 유도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송대남
송대남은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 90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유도 종목 최고령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은퇴 후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 1979년 출생 - 양동근
양동근은 1987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YDG aka Madman이라는 예명으로 힙합 가수로도 데뷔하여 독특한 스타일과 개성 있는 음악으로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힙합 래퍼이다. - 1979년 출생 - 팀 케이힐
팀 케이힐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축구 선수로, 다양한 클럽과 오스트레일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골 결정력과 투지 넘치는 플레이를 선보인 인물이다.
김성범 (유도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성범 |
출생일 | 1979년 5월 30일 |
국적 | 대한민국 |
키 | 1.92m |
몸무게 | 118kg |
스포츠 | 유도 |
종목 | +100kg |
소속 | 한국마사회 |
코치 | 안병근 |
메달 기록 (남자 유도) | |
아시안 게임 | 2006 도하 오픈 - 금메달 |
유니버시아드 | 2007 방콕 +100kg - 금메달 2003 대구 +100kg - 동메달 |
아시아 선수권 대회 | 2004 알마티 +100kg - 금메달 2003 제주 +100kg - 동메달 2007 쿠웨이트 시티 +100kg - 동메달 2008 제주 +100kg - 동메달 |
월드컵 단체전 | 2006 파리 100kg 초과 - 동메달 |
2. 주요 전적
(내용 없음)
2. 1. 국제 대회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100kg 초과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에서 처음으로 입상했다.[8] 같은 해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2004년에는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일본의 스즈키 게이지를 유효승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7][8] 그러나 같은 해 열린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2회전에서 이탈리아의 파올로 비안케시에게 한판패(합기술)를 당했고, 패자부활전에서도 네덜란드의 데니스 판 데르 헤스트에게 오오우치가리(안뒤축걸기) 절반패를 당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7][8] 이후 세계 학생 유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개인전 3위, 단체전 우승을 기록했다.[8]
200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미하일린에게 한판패했지만, 시범 종목으로 열린 단체전에서는 우승했다.[8] 2006년에는 월드컵 단체전에서 3위를 기록했고, 도하 아시안 게임 무차별급 결승에서는 이란의 마흐무드 미란을 유효승으로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8]
2007년 방콕 하계 유니버시아드 100kg 초과급에서 우승하며 다시 한번 국제 대회 정상에 섰다.[8] 2008년 아시아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으나,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2회전에서 에스토니아의 마르틴 파다르에게 아시구루마(발목받치기) 절반패를 당하며 올림픽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7][8]
=== 주요 국제 대회 성적 ===
연도 | 대회명 | 체급 | 결과 |
---|---|---|---|
2000년 | 한국 국제 유도 대회 | 100kg급 | 3위 |
2001년 | 한국 국제 유도 대회 | 100kg 초과급 | 3위 |
2003년 | 하계 유니버시아드 | 100kg 초과급 | 3위[8] |
2003년 | 아시아 선수권 | 100kg 초과급 | 3위 |
2003년 | 한국 국제 유도 대회 | 100kg 초과급 | 우승 |
2004년 | 아시아 선수권 | 100kg 초과급 | 우승[7][8] |
2004년 | 한국 국제 유도 대회 | 100kg 초과급 | 우승 |
2004년 | 세계 학생 선수권 | 개인전 | 3위[8] |
2004년 | 세계 학생 선수권 | 단체전 | 우승[8] |
2005년 | 세계 선수권 | 단체전 (시범) | 우승[8] |
2006년 | 월드컵 단체전 | 3위[8] | |
2006년 | 아시안 게임 | 무차별급 | 우승[8] |
2007년 | 아시아 선수권 | 100kg 초과급 | 3위 |
2007년 | 아시아 선수권 | 무차별급 | 우승 |
2007년 | 하계 유니버시아드 | 100kg 초과급 | 우승[8] |
2008년 | 아시아 선수권 | 100kg 초과급 | 3위[7][8] |
2008년 | 한국 국제 유도 대회 | 100kg 초과급 | 3위 |
2010년 | 월드컵 마이애미 | 100kg 초과급 | 우승 |
2. 2. 기타 대회
무차별급우승